누가복음 6:27-38
하나님 나라의 백성의 삶은 매우 파격적입니다. 파격적이라는 말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살아가는 삶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오히려 정반대되는 삶의 모습이라는 의미입니다.
원수라는 단어를 들으면 무슨 생각이 떠오르세요? 원수는 한마디로 미워할 사람입니다. 미운 마음으로 그 사람을 공격해서 해를 입혀야 할 대상이 바로 원수입니다. 미워하고 저주하고 모욕하고 때리고 뺏어야 할 대상이 바로 원수입니다. 그런데 그런 원수에 대해 예수님께서 명하시는 말씀이 다음과 같습니다. 원수를 사랑하라고 하십니다. 미워하면 선대하라고 하십니다. 저주하면 축복하라 하십니다. 모욕하면 그를 위해 기도하라 하십니다. 빰을 치면 빰을 돌려대고, 겉옷을 빼앗기면 속옷도 거절하지 말라 하십니다.
세상적으로는 상식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말씀을 하신 것입니다. 도무지 할 수 없는 일을 명하신 것 같습니다. 그렇습니다. 우리 본성대로 하면 아무것도 행할 수 없는 일입니다. 그러나 주님은 이것이 하나님 나라 백성의 삶이기에 그렇게 살라 하시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 나라는 눈이 보이는 이 세상 속에서 보이지 않는 하나님 나라를 사는 것이기에 이 보이는 세상의 상식에 얽매이는 삶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미워할 대표적 대상인 원수를 사랑하라 하십니다.
또한, 이어지는 명령도 이 세상의 상식적인 삶과 너무나 다릅니다. 대접을 하기보다 받고자 하는 것이 우리의 삶입니다. 사랑을 받기 원하지 사랑하기를 원하지 않는 것이 우리 삶입니다. 선대를 받고 싶지만 하기는 힘듭니다. 꾸어준다면 당연히 그것을 돌려받으려는 것이 우리의 모습입니다.
그런데, 하나님 나라의 백성은 대접하고 선대하는 삶을 사는 사람들입니다. 하나님 나라 백성들은 자신에게 무엇을 구하는 자에게 주되 다시 달라고 하지 않습니다.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남을 대접합니다. 사랑하지 않는 자도 사랑하고, 선대하지 않는 자도 선대하고, 받고자 하지 않으면서 꾸어줍니다.
왜 하나님의 나라의 백성에게 이런 삶을 명령하실까요? 그것이 하나님께서 큰 상을 약속하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은혜를 모르는 자와 악한 자에게도 인자하신 하나님의 자비로움을 닮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37절부터 계속해서 하나님 나라 백성의 삶이 이어집니다. 예수님은 비판하지 말라고 하십니다. 그리고 정죄하지 말라고 하십니다. 비판하고 정죄하는 삶은 우리 삶에 배어있는 모습이지만, 예수님은 비판을 하면 비판을 받고, 정죄하면 정죄를 받는 이 세상 사람들의 삶처럼 살지 않도록 명령하십니다. 오히려 반면에 먼저 용서함으로 용서를 받으라 하시고, 먼저 줌으로 넘치도록 받으라 하십니다.
왜 이렇게 우리가 사는 삶의 모습을 반대로 살라고 하실까요? 그것이 바로 하나님 나라 백성의 삶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이 죄악된 세상이 얼마나 하나님 나라에 반하는 삶을 사는 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려분,
우리는 우리의 주가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종입니다. 종은 주인의 명령에 순종하는 존재이구요. 우리를 십자가의 보혈로 구원하사 값주고 사는 주님께서 종된 우리에게 명하시는 삶이 바로 하나님 나라 백성으로서의 삶입니다. 입으로는 “주여!, 주여!” 하면서도 그 주인의 말씀에 순종하지 않는 삶을 살아서는 안됩니다. 비록, 이것은 이 죄악된 세상의 상식과 어울리지 않지만 우리는 이 세상에 속한 자가 아니라 하나님 나라의 속한 사람이기에 하나님 백성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우리 안에 계신 성령께서 우리를 도우실 것입니다.
.